공부/Javascript

연산자

도리암 2022. 2. 9. 18:37

비교연산자

다른 언어와는 다르게 === 또는 !==를 사용한다.

const a = 1
const b = 3

console.log(a===b)
console.log(a!==b)

function isEqual(x, y){
  return x === y
}

console.log(isEqual(1,1))

const A = 1 === 1
const B = 'AB' === 'AB'
const C = true

console.log(A)
console.log('&&: ', A&&B&&C)
console.log('||: ', A||b)

 

형변환

==는 동등연산자로 값이 똑같은지만 판단한다.

const a = 1
const b = '1'
console.log(a==b) // 자동 형변환이 일어나 값이 똑같으므로 true가 출력된다.
console.log(a===b) // 형변환이 일어나지 않아 타입이 다르므로 false가 출력된다.
Truthy(참 같은 값) true, { }, [ ], 1, 2, 'false', -12, '3.14' ...
Falsy(거짓 같은 값) false, ' ', null, undefined, 0, -0, NaN(Not a Number)

 

삼항연산자

A?'참':'거짓'

A가 참이면 '참'이 실행되고, A가 거짓이면 '거짓'이 실행된다.

 

조건문

if (조건문) {
  내용
} else if (조건문) {
  내용
} else {
  내용
}

switch (조건문) {
  case 조건1:
    내용
    break
  case 조건2:
    내용
    break
  default:
    내용
}

 

반복문

for (초기값; 최종값; 증가값) {
  내용
}

반복문을 이용하여 list를 삽입하는 구문 예시

const ulEl = document.querySelector('ul')

for (let i = 0; i<3; i+=1){
  const liEl = document.createElement('li')
  liEl.textContent = `list-${i+1}`
  ulEl.appendChild(liE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