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2. 20. 21:26ㆍ공부/Javascript
JSON
: JavaScript의 데이터를 표현하는 개방형 표준 포맷.
JSON에서는 쌍따옴표(")만을 사용할 수 있다.
언어 독립형 데이터 포맷이다
비단 JavaScript 뿐만이 아닌, 파이썬, 자바, C, C++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 가능하다.
JavaScript의 객체 데이터와 유사하다
JS의 객체 데이터는 속성을 따옴표나 쌍따옴표로 묶을 수 있다.
케밥케이스로 작성된 속성을 사용할 때 보통 따옴표를 이용해 묶지만 보통은 카멜케이스로 작성한다.
그러나 JSON에서는 속성과 값 모두를 쌍따옴표를 이용해 묶어주어야 한다.
$ npm init -y를 하게되면 만들어지는 package.json 파일을 살펴보면 전부 쌍따옴표로 묶여있다.
한 파일에 하나의 데이터만 사용 가능하다.
두 개 이상의 데이터를 가지게 되면 오류가 발생한다. 보통은 객체 데이터를 사용함.
undefined는 사용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객체데이터 안에 또다른 데이터들을 넣어서 사용한다.
JSON파일의 데이터 타입은 String이다.
JSON은 비동기 연결에 자주 사용되므로 적은 용량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문자형 데이터로 취급된다.
해석되는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JS의 값이나 객체로 인식된다.
JSON.stringify(값 또는 객체)
: JavaScript의 값이나 객체를 JSON 문자열로 만들어주는 것.
JSON.stringify(value[, replacer[, space]])
- value: JSON 문자열로 변환할 값.
- replacer (Optional) : 문자열화 동작 방식을 변경하는 함수.
- space : 각 항목 당 들여쓰기(스페이스) 개수
JSON.parse(JSON 문자열)
: JSON 문자열을 Javascript 값 또는 객체로 변환하는 함수.
JSON.parse(text[, reviver])
- text: JSON 문자열
- reviver: 함수라면, 변환 결과를 반환하기 전에 이 인수에 전달해서 변형한다.
const user = {
name: 'Riam',
age: 72,
emails: [
'Claudette@morrel.com',
'Riam@tistory.com'
]
}
console.log('user', user)
const str = JSON.stringify(user)
console.log('str', str)
console.log(typeof str)
const obj = JSON.parse(str)
console.log('obj', obj)
console.log(typeof obj)
'공부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데이터 - 메모리 구조, 원시타입 변수 생성 원리, 가비지 컬렉터 (0) | 2022.02.21 |
---|---|
JavaScript 데이터 실습 - Storage (0) | 2022.02.20 |
JavaScript 데이터 실습 - Lodash 함수들 (0) | 2022.02.20 |
JavaScript 데이터 실습 - Import, Export (0) | 2022.02.20 |
JavaScript 데이터 - 얕은 복사, 깊은 복사 (0) | 2022.02.20 |